NEXEN TIRE

전체메뉴보기

NEXEN enjoy

  • 알쏭달쏭? 도로명 주소의 모든것
  • 봄과 함께하는 타이어 봄맞이

NEXEN TODAY SPRING

OO로 XX길...”로 표기되는 도로명주소,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2014년 1월 1일, 새해를 맞이하여 대체휴일제의 적용, 최저임금 인상 등 변화한 사항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운전자들이 가장 큰 혼란을 겪는 것은 도로명주소의 전면사용일 것 같습니다. 새해부터는 목적지에 찾아갈 때 새롭게 바뀐 도로명주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2013년까지는 기존에 사용하던 지번 주소와 병행하였기 때문에 큰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지만, 2014년부터는 공공기관 민원신청이나 우편, 택배 등의 일상에서도 도로명주소로 표기되어 도로명주소 운영을 실감하셨을 것입니다.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도로명주소. 어떤 원리로 표기되는지 목적지에 어떻게 찾아가야 하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도로명주소란?

도로명 주소란 기존 지번을 대신하여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 건물에 번호를 붙여 “도로명과 건물번호로 알기 쉽게 표기”하는 새로운 주소 표기법입니다. 지번 주소체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21세기 물류, 정보화시대에 맞는 위치정보 체계를 위해 도입된 도로명 주소.도로명 주소는 전 세계 OECD 회원국 모두가 사용하고 있는 주소체계이며 선진 외국은 16세기에서 18세기 당시, 교통수단의 발달로 도로방식 주소제도가 자연스럽게 발달했다고 합니다, 중국이나 북한, 러시아 등 동북아 주변의 국도 모두 도로방식 주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로명주소의 사용방법은?

도로명주소 사용방법
도로명주소가 기억나지 않을 때는?

초행길을 찾아갈 때나 운전석에 앉아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할 때, 도로명주소를 알지 못해 당황하신 적 있지 않으신가요? 이럴 때는 주변의 스마트기기들을 이용하여 도로명주소를 검색하는 것이 가장 쉽고 빠른 방법입니다.

도로명주소는 포털사이트나 도로명주소 안내홈페이지나(http://www.jus
o.go.kr/
) 포털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도 도로명주소를 쉽게 조회
할 수 있습니다.
도로명주소 전면 사용에 있어 많은 분이 기존 지번은 없어지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지번은 토지관리를 위해 부여된 번호이기 때문에 부동산의 표시에는 계속 지번을 사용하고, 기존의 “~동”, “~리” 등도 도로명주소의 참고항목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새로 도입된 도로명주소, 이젠 헷갈리지 마세요 ^^